보건당국이 '중동호흡기증후군'(메르스)으로 인한 사망자와 3차 감염자 발생에도 현재의 경보 수준인 '주의' 단계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 문형표 장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날 오전 열린 관계장관회의 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.<br /><br />문 장관은 "현재까지는 질병 확산 경로가 의료기관내로 국한돼있다"며 "주의 단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강력한 대책을 준비했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일단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수장을 문 장관이 직접 맡기로 했다. 장관이 대책본부장을 맡는 건 보통 위기 경보가 '심각' 단계인 경우다.<br /><br />복지부 관계자는 "경계 단계가 격상되진 않지만 모든 조치와 실행은 경계 또는 심각에 준해서 선제적으로 할 것"이라고 설명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본부장을 맡게 된 문 장관은 "앞으로 확진 환자와 접촉한 대상자 전체를 파악, 50세 이상 만성질환자는 원칙적으로 시설 격리를 유도하겠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"메르스 환자와 접촉하지 않은 경우라도 항생제가 듣지 않는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, 기저질환을 가진 50세 이상 폐렴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겠다"는 것이다.<br /><br />아울러 환자가 생긴 병원은 휴원시켜 격리병원이나 병동으로 쓰기로 했다. '자진 휴원'에 의존하다 추가 감염자가 생기는 일을 더는 막겠다는 차원이다.<br /><br />하지만 갈수록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병원명 공개에 대해서는 "그런 고민의 많은 부분들이 조금은 근거가 없다"며 불가 입장을 거듭 밝혔다.<br /><br />문 장관은 "메르스는 밀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"며 "어떤 환자가 해당 병원에 있었다고 해서 그 병원에 가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"라고 덧붙였다.<br /><br />대신 메르스 발생 병원 방문 여부, 확진 환자 접촉 여부 등의 이력을 바로 조회할 수 있는 '확진환자 접촉자 조회시스템'을 마련, 의료기관에 한해 공개하기로 했다. <br /><br />문 장관은 또 "현재 상황은 강화된 주의 단계"라며 "정확한 정보를 통해 괴담이나 루머가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"고 거듭 강조했다.